하이드렌지아/LonePi
정보
ハイドレンジア | |
---|---|
출처 | sm38387144 |
작곡 | LonePi |
작사 | LonePi |
노래 | 카아이 유키 |
가사
気味が悪い程キミが悪い |
키미가 와루이호도 키미가 와루이 |
기분 나쁠 정도로 네가 미워 |
意味など疾うに 収集車の淵 |
이미나도 토오니 슈우슈우샤노 엔 |
의미 같은 건 이미 쓰레기차 구석에 |
世の声 まだ生は乞え |
세이노 코에 마다 세이와 코에 |
세상의 목소리, 아직 삶은 소망해 |
五月蝿いと吠え 浮く彩度ゼロ視界 |
우루사이토 호에 우쿠 사이도 제로 시카이 |
시끄럽다고 짖어, 들뜬 채도 0의 시야 |
鳥肌が立つ 独善的な |
토리하다가 타츠 도쿠젠테키나 |
소름이 돋아, 독선적인 |
優しさ、只の日和見主義 |
야사시사, 타다노 히요리미슈기 |
상냥함, 기회주의일 뿐 |
社会の云う「常識」象って |
샤카이노 이우 「조오시키」 카타돗테 |
사회가 말하는 「상식」을 본떠서 |
複写した キミのその物差しで |
후쿠샤시타 키미노 소노 모노사시데 |
복사했던 너의 그 기준으로 |
心を測られた。 |
코코로오 하카라레타. |
마음을 측정했어. |
あのね お話聞いて |
아노네 오하나시 키이테 |
저기, 이야기를 들어줘 |
アタシ、キミが嫌いなのさ、だから |
아타시, 키미가 키라이나노사, 다카라 |
나는, 네가 싫은걸, 그러니까 |
さぁ、顔は見ないで |
사아, 카오와 미나이데 |
자, 얼굴은 보지 말고 |
ただ何も言わないで 終わらせて。そう |
타다 나니모 이와나이데 오와라세테. 소오 |
그냥 아무 말도 하지 말고 끝내줘. 그래 |
早々、正直に 嘘を吐いては |
소오소오, 쇼오지키니 우소오 츠이테와 |
급하게, 솔직하게 거짓말을 하고서 |
全て「はい」で答えて |
스베테 「하이」데 코타에테 |
전부 「네」라고 대답해 |
気管を這う アスファルトの灰色は |
키칸오 하우 아스화루토노 하이이로와 |
기관지를 기어오르는 아스팔트의 잿빛은 |
recall 凍る ぺトリコール |
리코오루 코오루 페토리코오루 |
recall 얼어붙는 페트리코어 |
ズレていく ただ軋んでくから |
즈레테이쿠 타다 키신데쿠카라 |
엇갈려 가, 그저 삐걱대고 있어서 |
ミシンで縫う 絡み、死んでnull |
미신데 누우 카라미 신데 누루 |
재봉틀로 꿰매, 휘감고, 죽어 null |
海馬の奥で 蹲る |
카이바노 오쿠데 우즈쿠마루 |
해마 속 깊은곳에 웅크려 |
ただ渦組まず 漂う薄らな赤 |
타다 우즈쿠마즈 타다요우 우스라나 아카 |
소용돌이 치지 않고, 그저 감도는 희미한 빨강 |
閑静な 感性は 喚声以て 完成す |
칸세이나 칸세이와 칸세이못테 칸세이스 |
고요한 감성은 환호성으로 완성돼 |
慣性は ない所為で 速乾性の傍ら |
칸세이와 나이 세이데 솟칸세이노 카타와라 |
관성은 없는 탓에 빨리 마르던 한편 |
敗戦の「はい、せーの」 逆再生の愚才 |
하이센노 「하이, 세에노」 갸쿠사이세이노 구사이 |
패전의 「자, 시ー작」 역재생되는 어리석은 재능 |
達成感、慢性化 金輪際、事欠いた |
탓세이칸, 만세이카 콘린자이, 코토카이타 |
성취감, 만성화, 끝까지, 부족했어 |
あのね 返事を頂戴 |
아노네 헨지오 초오다이 |
있지, 대답을 해줘 |
アタシ、キミが嫌いなのさ、だから |
아타시, 키미가 키라이나노사, 다카라 |
나는, 네가 싫은걸, 그러니까 |
さぁ、顔は見ないで |
사아, 카오와 미나이데 |
자, 얼굴은 보지 말고 |
ずっと何も聴かないで 朽ち果てて。(ほっといて。) |
즛토 나니모 키카나이데 쿠치하테테. (홋토이테.) |
계속 아무것도 묻지 말고 썩어버려줘. (내버려둬.) |
未だ 痛いの、本音は |
마다 이타이노, 혼네와 |
아직도 아파, 사실은 |
傷口には藍い悪口を。 |
키즈구치니와 아오이 와루구치오. |
상처에는 푸른색 욕을. |
雨に濡れた 窓辺の紫色は |
아메니 누레타 마도베노 무라사키이로와 |
비에 젖은 창가의 보라색은 |
キミに良くお似合いのハイドレンジア! |
키미니 요쿠 오니아이노 하이도렌지아! |
너에게 잘 어울리는 하이드렌지아! |
recall 凍る ぺトリコール <페트리콜이 아니라 페트리코에요. 유튜브 영어자막에서도 Petrichor라고 나오고 구글에 ペトリコール검색해도 Petrichor가 먼저 나옵니다
Petrichor이란 의미로 페트리콜을 사용한 것이나 페트리콜, 페트리코, 페트리코어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가장 많이 보이는 페트리코어로 수정했습니다.